文意 :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解義 :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꾸준히 노력하면 이룰 수 있다 당나라 때 시선(詩仙)으로 불린 이백은 서역의 무역상이었던 아버지를 따라 어린 시절을 촉(蜀)에서 보냈다. 젊은…
文意 소경이 코끼리를 만짐解義 소경 여럿이서 코끼리를 만지고 자신이 만진 부분으로 전체를 알려고 함 옛날 인도의 어떤 왕이 진리에 대해 말하다가, 대신을 시켜 코끼리를 한마리 몰고 오도록 했다. 그리고는 장님 …
文意 계포가 한 번 한 약속 解義 한 번 약속하면 반드시 지킨다 초나라 항우 밑에서 활약하던 계포…
한(漢)나라 무제의 신하 중에 동방삭(東方朔)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박학다식하므로 무제의 좋은 말상대가 되곤 했다. 동방삭의 글 중 ‘칠간전(七諫傳)’이 있는데, 이는 그가 초나라의 정치가이자 시인인 ‘굴원(…
文意 맨손으로 법을 잡고, 걸어서 강을 건넌다解義 만용을 믿고 되는 대로 행동하는 것을 뜻함 맨손으로 호랑이를 잡고, 황하를 타고 건너려는 무모함을 말한다. 무모한 행동 또는 어떤 것도 두려워하지 않는 만용을 …
‘송나라 양공(襄公)이 베푼 그릇된 인의(仁義)’라는 의미이다. 기원전638년에 송나라의 양공은 송·위·허·등(滕)의 네 나라 군대를 이끌고 초나라를 받드는 정나라를 공격했고 그를 구원하러 온 초나라 군…
文意 천 번의 생각에 한 번의 실수解義 많이 생각하다 보면 실수할 수도 있다. ≪사기(史記)≫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에 나오는 말이다. 회음후 한신(韓信)이 조(趙)나라를 치면서 광무군(廣武君) 이좌거(李左車…
文意 늙은 말의 지혜解義 경험에 의해 축적된 지혜가 난관극복에 도움이 된다. 관중(管仲)과 습붕(隰朋)이 환공(桓公)을 따라 고죽국을칠 때 봄에 가서 겨울에 돌아오다가 미혹되어 길을 잃었다. 관중(…
후한(後漢)의 양진(楊震)은 그의 해박한 지식과 청렴결백으로 공자에 견주어 관서공자(關西公子)라는 칭호를 들었다. 그가 동래 태수로 부임할 때 창읍에서 묵게 되었는데 창읍 현령인 왕밀이 밤에 찾아와서 금을 내밀며 뇌…
文意 명검도 사람의 손을 거쳐야 빛이 난다.解義 사람도 교육을 통해 선도해야만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중국 춘추 시대의 유명한 군주 오(吳)나라 왕 합려(闔閭)는 유명한 대장장이인 간장(干將)에게 명검을 주문…
文意: 엉터리로 악기를 부는 것解義: 무능한 사람이 유능한 체하는 것을 말한다 제나라 선왕(宣王)이 사람을 시켜 우를 연주할 때는 반드시 3백명이 하도록 했다. 남곽(南郭)이라는 처사도 왕을 위해 우를 불기를 …
文意: 세 사람이 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하면 믿게 된다.解義: 거짓말도 여러사람이 말하면 참말로 믿기 쉽다. 전국시대 위 혜왕(惠王) 때의 일이다. 방총은 태자 때문에 인질로 조나라 서울인 한단으로 가게 되었…
文意 : 하찮은 남자의 용기解義 : 소인(小人)이 깊은 생각 없이 혈기만 믿고 함부로 부리는 용기 양나라 혜왕(惠王)이 맹자(孟子)에게 이웃 나라와는 어떻게 국교를 맺는게 좋겠는가를 묻자, 맹자가 “대국은 소국에게…
文意 우는 화살 / 解義 휘파람 소리를 내는 신호용 화살.어떤 일에 대한 ‘시작’이라는 의미가 있다. 효시(嚆矢)는 ‘소리 나는 화살’을 말한다. 옛날 중국에서는 이우는 화살을 적진에 쏘아 보냄으로써 개전 신호…
文意 한단의 걸음걸이 解義 자기분수를 모르고 남을 흉내 내는 것을 빗대어 하는 말 자신의 학문과 변론이 당대 최고라고 여기고 있던 중국 전국시대 조(趙)나라의 사상가 공손룡(公孫龍)이 자신의 변론과 지혜를 장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