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Date: 2024년 11월 01일

건강

혈액이나 체액 상처나 점막 통해 감염

c.jpg

 <사진자료 국가건강정보포털>

c형 간염은 c형 간염 바이어스에 감염된 사람의 혈액이나 체액이 상처나 점막을 통해 감염된다. 국내에서는 전국민읜1%c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로 추정된다. 전체 만성 간질환 환자의 약 10~15%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c형 간염은 노출(감염)된 경우 70~80%가 만성 간염으로 진행하고 적절한 치료가 되지 않을 경우 이 중 30~40% 정도가 간경화증, 간암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예방 뿐 아니라 감염된 사람에 대한 적절한 진단 및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c형 간염은 감염 초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소수의 환자에서는 피로감, 열감, 근육통, 소화불량, 외상복부불쾌감, 황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c형 간염 환자는 검사를 받기 전에는 모르고 지내다가 20~30년이 지나서 만성간염이나 간경화증, 간 암등의 소견으로 뒤 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c형 간염 진단은 혈액검사를 통해 c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를 검출하거나 c형 간염바이러스를 직접 확인하는 검사(HCV-RNA 검사법)를 통해 이뤄진다. C형 간염이 혈액검사를 통해 진단된 경우에는 간염이나 간경화증, 간 암등 간질환의 심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복부 초음파 검사 등을 시행하게 되며 혹은 필요시 간 조직 검사를 시행할 수도 있다.

C형 간염은 예방이 최선이기 때문에 감염 경로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사바늘은 반드시 일회용으로 사용하고 문신을 하거나 침을 놓을 때는 반드시 소독된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개인이 쓰는 손톱깎이나 면도기, 칫솔로도 옮길 수 있다.

특별한 증상이 없어도 C형 간염검사를 해보아야 할 고위험 군이 있다. 1992년 이전 수혈이나 장기이식을 받은 경우, 정맥주사 약물 남용자, 혈액투석환자, HIV감염자, 한센병, HCV감염산모에서 태어난 아이, HIV양성인 혈액에 오염된 주사바늘에 찔리거나 점막이 노출된 보건의료 종사자, C형 간염 환자와 성관계 접촉이 있는 경우 등이며, 여기에 해당되지 않더라도 한번은 C형 간염 선별검사를 받아 볼 필요가 있다.

C형 간염은 완치 가능한 질병이다. 하지만 C형 간염에 대한 인식 자체가 낮아 오히려 사망률이 증가 하는 감염병중 하다이다. C형 간염 환자 중 80% 이상이 만성 간염을 앓는다. 국내 간암의 20%C형 간염이 원인이며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킨다. 그러나 C형 간염 환자 중 70%는 아무 증상을 느끼지 못한다. 그만큼 자각 증상이 없다는 뜻이다.

급성 C형 간염에서 자연 치유되는 경우는 약 30% 정도이고 70%가 만성으로 진행한다. 이들 중 매년 약 25%가 심각한 질환상태, 즉 간경화증이나 간암으로 진행 한다. 감염기간 5년일 때 약 13%의 진행률을 보이며 10년이 넘어가면 25%의 진행률을 보인다.

20대 보다 40대 이상이면 진행률이 빠르다.. 남성 음주자, 다른 바이러스 중복감염, 인슐린 저항성이나 비만이 있는 경우, 면역억제나, 장기이식자, ALT(GPT)라는 간의 염증수치가 상승된 경우, 다른 유전적 요인들이 C형 간염의 질환진행에 영향을 준다.

C형 간염의 치료는 과거에는 주사제인 페그인터페론 알파(1회 피하주사), 경구제인 리바비전 병합요법이 있으나 부작용이 심하고 만선간염에서 간경화증으로 진행된 환자를 대상으로 대부분 치료할 수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경구용 항바이러스 제가 미국 및 유럽에서 개발되어 국내에서도 사용되고 경구용만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C형 간염의 유전자형에 관계없이 치료가 가능하며 간경화증 환자에도 치료가 가능해졌다. 3~6개월 동안 복용하면 완치율이 90~100%에 이르고 부작용도 거의 없다.

강동병원 오기영 내과과장.png

 오기영/강동병원 내과 과장

[2017120일 제8411]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