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Date: 2024년 10월 09일

김문길의 역사이야기

‘울릉도’, ‘독도’는 조선국 ‘한당’으로 표기

1687년에는 다시 명칭이 바뀌어졌다. 역시 지리학자인 이시까와 유센 (石川流宣)은「일본해산조륙도(日本海山潮陸圖)」를 그렸다. 이 지도를 그린 목적은 각 지역무사들의 석고(石高:일본 사…

“독도는 조선의 섬” 일본 문서 발견

에도시대 '水路誌', 소화26년 시마네현지사가 외무대신에 보낸 문서에도 수시로 영유권 주장을 하고나서는 일본의 터무니없는 억지주장에 쐐기를 박을 비밀 문서가 발견됐다. 부산외국어대학교 명예…

무가武家 정치대두…슬그머니 점유

⑤ 명치(明治) 정부는 지명조사 명치유신이 일어난 후 일본은 그야말로 천지가 바뀌어졌다. 지명도 번(藩)에서 현(縣)으로 바꾸고 사람들의 정신 구조뿐만 아니라사회 문화 전반을 바꾸었다. 그 때…

日, 울릉도·독도 들어가는 어민 처형했다

울릉도는 죽도이고 독도는 송도(松島)라 하는 것이 일본인들의 주장이다.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쇼와 42년 5월『역사학보』43집「 비평과 소개 죽도의 역사 지리학적 연구」란 글을 쓴 무로카 노부모(室…

“ ‘죽도’ 는 조선땅” 조업금지령내렸던 일본

그러나 3년 후 1969년 1월28일에 막부는 안용복의 항의를 받아들여 울릉도 독도는 조선 땅이니 오오야 무라카미 어선이 들어가지 말라는 금지령이 내렸다. 이것은 오로지 안용복의 국토수호정신에서 내려진 것…

“독도는 우리땅” 막부에서도 당당

안용복장군(이하 장군 생략)은 수영성에 근무했던 병사였다. 수영성 병사는 바다를 지키는 해군이었다. 안용복은 순흥 안 씨로 일본어가 능숙한사람이었다. 그의 출생지는 부산 좌천1동 14통 3반 …

일본어선 울릉도 독도 도해 금지령

그러나 3년 후 1969년 1월28일에 막부는 안용복의 항의를 받아들여 울릉도 독도는 조선 땅이니 오오야 무라카미 어선이 들어가지 말라는 금지령이 내렸다. 이것은 오로지 안용복의 국토수호정신에서 내려진 것이다. …

울릉도 독도 수호 안용복 역할 컸다

안용복장군(이하 장군 생략)은 수영성에 근무했던 병사였다. 수영성 병사는 바다를 지키는 해군이였다. 안용복은 순흥 안씨로 일본어가 능숙한 사람이었다. 그의 출생지는 부산 좌천1동 14통 3반 이…

‘호키국’ 울릉도·독도 조업허가 문서

우리나라 조정의 공도(空島)정책 우리나라 조정에서는 1417년에 독도는 물론이지만 울릉도에 사람이 살 수 없도록 했다. 1417년 이전에 사는 사람들도 육지로 불러냈다. 조정…

일본·중국의 ‘조선부’지도에도 독도는 조선영토

<지난호에 이음> 이 서적은 1488(성종 19)년 중국 사신 동월(董越)이 중국 황제의 명을 받고 조선에 와서 보고 들은 것을 저술한 고서적이다. 이 서적에는 조선의 사회, 문화,…

‘울릉도’, ‘독도’는 조선국 ‘한당’으로 표기

1687년에는 다시 명칭이 바뀌어졌다. 역시 지리학자인 이시까와 유센 (石川流宣)은「일본해산조륙도(日本海山潮陸圖)」를 그렸다. 이 지도를 그린 목적은 각 지역 무사들의 석고(石高:일본 사무라이들의 소출량)…

일본 고지도, ″안도(雁道)는 신라땅″

「청산되지 않은 한일관계사」문제에서 광복 반세기가 지나도록 해결되지 않는 문제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찾을 수 가 있다. 먼저 지적 할 것은「전쟁의 책임」을 일본이져야 하는 문제이다. 다시 말해서 패…

신(神)이된 우리 곡물과 농기구

김문길 부산외국어대교수의 '일본속의 한국문화' <3> 임란때 빼앗긴 우리 문화재 조선 볍씨와 탈곡정미기 임진·정유재란을 통하여 도요토미 히데요…

겐로쿠 공원 ‘해석탑’은 백제7층 석탑

김문길 부산외국어대교수의 ‘일본속의 한국문화’<2> 임란때 빼앗긴 우리 문화재 임진왜란 때 왜장들 가운데 가장 많은 병졸들을 데리고 침략한 진군…

신라범종이 일본의 국보?

김문길 부산외국어대교수의 '일본속의 한국문화' <1> 임진왜란 때 빼앗긴 우리 문화재 ① 당나라의 유명한 시인 이백(李白)은 남달리 사찰에 걸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