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한 이유없이 불안감이 심해져 숨이 막히는 등 극심한 공포 증상을 보이는 ‘공황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이 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20일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공황장애' 질환으로 진료 받은 환자는 2010년 5만945명에서 2015년 10만 6,140명으로 5년 동안 두 배 이상 늘어났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2010년 2만6,198명에서 2015년 4만9,669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13.6% 증가했다. 여성은 2010년 2만4,747명에서 2015년 5만6,471명으로 연평균 17.9% 많아졌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정석 교수는“매년 공황장애 환자가 꾸준히 증가한 것은 매스컴을 통해 유명 연예인들이 공황장애에 걸렸다는 사실을 고백하면서 대중들이 공황장애에 대해 많이 알게 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정신과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면서 진료인원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 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40대가 310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275명, 70대 이상 269명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40대와 60대가 316명으로 가장 많고, 50대는 314명 순으로 파악됐다.
이정석 교수는 40대 이후 공황장애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직무에 대한 부담, 건강쇠퇴, 부부의 권태기, 자녀의 학업등으로 큰 스트레스를 겪는 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인구 10만 명 당 공황장애 진료인원의 연령대별 변화를 보면, 70대 이상에서 인구 10만 명당 2010년 82명에서 2015년 276명으로 가장 크게 증가한 것(3.4배)으로 나타났다.
이정석 교수는 70대 이상 노인 환자 증가 폭이 큰 이유에 대해 “현재 노인세대는 부모세대를 부양하며 자라왔지만 경제사회적 환경변화로 자식 세대의 부양을 받기는 어려워지면서 경제적 사회적 소외를 경험하게 된 세대다. 또한 친구, 아는 이들의 죽음을 겪고 신체적 쇠태와 질병도 얻게 되면서 불안감에 시달리게 되는 것”이 원인이라고 말했다.
공황장애는 어느 하나의 원인에 의해 생기는 것이 아니라 신경생물학적 원인 그리고 유전적, 심리사회적 원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엇보다 대부분의 공황장애 환자들이 처음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심한 스트레스를 겪고 스트레스가 심해질 경우 증상이 재발,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기에 스트레스가 공황장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공황장애 환자는 약물치료와 인지행동 치료를 받는데, 무엇보다 조기진단과 조기치료가 중요하다. 초기에 치료를 받으면 생활에 큰 후유증이 남지 않지만 반복적으로 발작을 겪다보면 발작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장소나 상황을 피하게 되고 결국 거의 모든 상황과 장소를 피하게 된다.
또한 만성이 되다보면 절망감에 우울증에 빠지거나 술, 안정제에 의존하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무엇보다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하다. 전문가들은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술, 담배를 하는 경우 일시적인 해소는 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평소에 항상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꾸준한 운동과 취미생활을 계속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유시윤 기자
[2017년 3월 24일 제86호 1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