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통계청이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가사나 육아를 이유로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전업주부는 708만 5000명으로 전년도 보다 5만 8000명(0.8%)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부터 시작된 지난 13년간의 관련 통계를 보면 638만 명이던 전업주부는 해마다 꾸준히 늘어나 2013년에는 729만 명으로 최고점에 달했다.
그러나 2014년에는 714만 명으로 15만5000만 명(2.1%)이 줄었고, 2015년에도 708만 명으로 2년 연속 감소세를 유지했으며, 올해 1∼2월 조사에서도 9만 3000명(1.3%)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전업주부가 줄고 있는 원인에 대해 전문가들은 ‘육아와 가사노동에 치중하던 중년 이후의 여성들이 생활비와 노후자금을 벌기위해 취업을 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는 통계청이 지난해 발표한 ‘2014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부가항목 조사 결과’가 뒷받침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50대 맞벌이 가구(168만5000가구)는 전년보다 4.7% 증가했고, 60세 이상 맞벌이 가구(93만4000가구)는 전 연령대 가운데 가장 큰 폭(6.7%)으로 상승한 것.
또한 20~30대 고학력 여성의 사회활동이 늘고, 여성 고용률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정책도 전업주부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전업주부 감소 및 중년층의 맞벌이 증가가 고학력 여성의 자아실현형 취업보다 중장년 여성의 생계형 취업이라는 측면과 지난해 우리나라 여성 고용률(15~64세 기준)이 55.7%로 사상최고치를 경신했지만, OECD 평균인 58%(2014년)에는 여전히 못 미치는 만큼 여성취업을 질적·양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 마련이 요구된다.
박정은 기자
[2016년 3월 30일 제74호 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