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여성의 고용률이 전국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상황에서 여성 일자리 지원정책 등을 모색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자리가 열렸다.
부산경실련은 지난 18일 오후 2시 부산일보 10층 소강당에서 부산지역 6개 여성인력개발센터, 부산장노년일자리지원센터, 사)시민대안정책연구소와 함께 ‘2025 부산 여성 일자리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은 부산여성인력개발센터협의회 이숙련 회장과 조용언 시민대안정책연구소 이사장의 인사말, 부산시 이준승 행정부시장의 축사로 시작됐다. 이들은 부산의 여성 고용률이 전국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현실을 지적하며, 여성 인력이 지역의 성장동력임을 강조했다.
또한 부산의 구조적인 일자리문제를 짚고 여성 일자리 지원정책이 부산의 주요 정책 의제로 적극 반영되어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첫 번째 발제에 나선 부산연구원 최청락 책임연구원은 부산 여성고용이 전국 최하위 수준이며 고령층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는 분석을 제시했다. 또한 여성의 경제활동이 산업·직업 편중, 부족한 직업교육 참여, 공공 취업정보 접근성 제한 등 구조적 취약성을 지니고 있음을 지적하며, 여성인력개발센터 기능 강화와 부산형 여성 일자리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두 번째 발제자인 부산장노년일자리지원센터 이옥경 상담사는 중장년 여성들이 재취업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환경적 어려움과 이를 극복한 사례를 소개했다.
이어진 지정토론에서는 박주옥, 홍미영 관장, 김정수 대표, 도한영 부산경실련 사무처장이 참여해 부산 여성 고용정책의 방향을 다각도로 논의했다.
토론자들은 고령 여성 증가에 대응하는 맞춤형 정책, 직업교육·디지털 역량 강화, 시간제·유연근무 등 현실적 일자리 확대, 여성인력개발센터 운영보조금 인상 등을 주요 과제로 제시했다.
부산경실련 관계자는 “이번 포럼은 부산의 미취업 여성 실태를 정확히 이해하고, 변화하는 노동시장에 맞는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을 공유한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부산경실련은 앞으로도 여성의 경제활동 촉진과 공공성 강화, 그리고 지속가능한 지역 일자리 체계 구축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유혜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