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Date: 2025년 10월 28일

사회

노인일자리 담당자 10명 중 8명은 계약직

노인일자리 사업 담당자 6939명 중 정규직은 72명으로 1%에 불과하며 82%는 계약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최저임금 수준의 급여를 받고 있어 불안정한 고용과 열악한 처우에 시달리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서울송파구병, 보건복지위)이 한국노인인력개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노인일자리 사업 담당자 현황자료에 따르면, 20258월 기준 노인일자리 사업 담당자는 총 6939명으로 이 중 정규직은 72(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계약직 1197명을 포함하더라도 정규직과 무기계약직은 전체의 18% 수준에 그쳤고, 나머지 5670(82%)은 계약직으로 확인됐다.

노인일자리 사업 담당자의 임금은 월 2097천원으로 최저시급 수준의 기본급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실시한 노인일자리 담당자 근로여건 실태조사(2024)’에 따르면, 노인일자리 담당자들이 이직 의사를 밝힌 주요 이유는 보수가 낮아서38.9%로 가장 많았으며 고용이 불안정해서25.2%로 그 뒤를 이었다.

남인순 의원은 노인일자리는 202074만개에서 20251098천개로 약 48% 증가했지만, 노인일자리 사업 담당자의 처우는 여전히 제자리라며, “양질의 노인일자리가 확대되기 위해서는 노인일자리 담당자의 정규직 배치 기준 현실화와 경력에 따른 임금체계 마련 등 근본적인 처우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박정은 기자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