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일자리 사업 담당자 6천 939명 중 정규직은 72명으로 1%에 불과하며 82%는 계약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최저임금 수준의 급여를 받고 있어 불안정한 고용과 열악한 처우에 시달리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서울송파구병, 보건복지위)이 한국노인인력개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노인일자리 사업 담당자 현황’자료에 따르면, 2025년 8월 기준 노인일자리 사업 담당자는 총 6천939명으로 이 중 정규직은 72명(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계약직 1천197명을 포함하더라도 정규직과 무기계약직은 전체의 18% 수준에 그쳤고, 나머지 5천670명(82%)은 계약직으로 확인됐다.
노인일자리 사업 담당자의 임금은 월 209만 7천원으로 최저시급 수준의 기본급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실시한 ‘노인일자리 담당자 근로여건 실태조사(2024)’에 따르면, 노인일자리 담당자들이 이직 의사를 밝힌 주요 이유는 ‘보수가 낮아서’가 38.9%로 가장 많았으며 ‘고용이 불안정해서’가 25.2%로 그 뒤를 이었다.
남인순 의원은 “노인일자리는 2020년 74만개에서 2025년 109만 8천개로 약 48% 증가했지만, 노인일자리 사업 담당자의 처우는 여전히 제자리”라며, “양질의 노인일자리가 확대되기 위해서는 노인일자리 담당자의 정규직 배치 기준 현실화와 경력에 따른 임금체계 마련 등 근본적인 처우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박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