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 제공)
여성긴급전화 1366은 지난해 29만 3천여 건의 폭력피해 상담을 지원했으며, 이 가운데 스토킹과 교제폭력 피해상담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28일, ‘2024년 여성긴급전화 1366’ 운영실적을 발표했다.
지난해 1366은 29만 3천여 건의 폭력피해 상담을 지원했는데 이는 2023년 대비 소폭(921건) 감소한 결과이다.
가정폭력 피해상담이 14만8천884건으로 전체 상담의 50.7%나 되는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스토킹(5.0%), 성폭력(4.8%), 교제폭력(3.9%), 디지털성범죄(1.7%) 순이었다.
2024년에는 특히 스토킹과 교제폭력 피해상담이 증가했다. 스토킹 피해상담의 경우 1만4천553건으로 2023년 대비 61.4% 증가했고, 교제폭력 피해상담은 11만338건으로 23.4% 증가했다. 이에 대해 여가부는 스토킹처벌법 및 스토킹방지법의 시행과 함께 새로운 유형의 폭력에 대한 사회적 인식변화가 상담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남성 피해자의 상담 이용률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 상담 중 남성 비율은 6.3%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상담 유형은 가정폭력(66.2%), 디지털 성범죄(13.1%), 스토킹(12.6%)순으로 나타났다.
피해자의 긴급한 위기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된 긴급피난처는 지난 한 해 동안 4천486명이 이용했고 1인당 2.7일간 보호가 이뤄졌다. 입소자 피해유형은 가정폭력(87.3%), 교제폭력(4.7%), 성폭력(2.2%)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해 12월 세종특별자치시에 1366센터가 개소함에 따라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에 폭력피해자에 대한 초기상담 및 구조․보호 체계를 갖추게 됐다.
조용수 여성가족부 권익증진국장은 “여성긴급전화1366은 폭력피해자에 대한 초기상담과 긴급구조·보호기능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통합구조기관으로써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며, “성별과 연령에 관계없이 누구나 1366을 통해 신속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박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