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공립 병설유치원 10곳 중 6곳 이상이 정원의 절반도 채우지 못하고 있으며 원아충원율이 20% 미만인 곳도 8.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교육청이 최근 강철호 부산시의원(사진)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부산지역 유치원 수는 총 375개로, 공립 136개(단설 33곳, 병설 103곳), 사립 239개다.
10년 전만 해도 매년 2만 명을 넘어섰던 신입생 수는 1만4천 명(2024년 기준) 아래로 내려앉았다. 원아수가 가파르게 감소하면서 사립유치원은 312개원(2010) 대비 73곳의 유치원이 감소됐지만, 공립유치원은 61곳(2010)에서 매년 지속적으로 확대해 같은 기간 75곳이 추가 설립됐다.
문제는 공립유치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병설유치원이 학부모들의 선택을 받지 못하면서 정원 미달 사태가 심각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병설유치원의 평균 충원율은 50.6%로, 사립유치원(82.7%)과 공립 단설유치원(79.9%)에 비해 현저히 낮다. 특히 병설유치원의 60.2%가 정원의 절반도 채우지 못하고 있으며 반면 사립유치원과 공립 단설유치원에서 충원율 50% 미만인 곳은 각각 10.9%와 9.1%에 불과했다.
강철호 의원은 “원아수 변화에 순응해 온 사립유치원과 달리 대다수가 정원을 크게 밑돌고 있음에도 지속적으로 규모를 늘려온 병설유치원에 대해서는 시급히 재구조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며, “인력 및 예산이 비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만큼 운영실태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을 기초로 적극적인 통폐원 작업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유시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