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Date: 2024년 12월 27일

사회

단순노무직 기혼 여성이 미혼 여성의 ‘3배’

여성 취업자 중 포장·운반·청소 등 업무를 주로 하는 단순노무직 비중이 결혼 전후 3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출산·육아로 인한 경력단절 등으로 재취업할 수 있는 업종이 제한돼 단순노무직 종사자가 늘어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3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여성 단순노무직은 2079천명으로 1년 전보다 125천명(6.4%) 늘었다. 같은 기간 남성 단순노무직은 79천명(3.9%) 줄었다. 4월 여성 단순노무직 수는 남성(1966천명)을 추월했다.

전체 여성 취업자에서 중 단순노무직이 차지하는 비중도 1년 전 15.7%에서 16.3%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남성 취업자 중 단순노무직 비중은 12.8%에서 12.3%로 하락한 점과 대비된다.

특히 상대적으로 질이 낮은 일자리는 미혼보다 주로 기혼 여성에 집중된 모습을 보였다. 기혼여성 단순노무직은 1239천명으로 전체 기혼여성 취업자(7483천명)16.6%를 차지했다. 미혼여성 단순노무직 비중(4.9%)보다 3배 이상 많다. 반면 기혼남성 단순노무직 비중은 11.1%로 미혼남성(12.5%)보다 오히려 낮게 나타났다.

여성 단순노무직을 종사상지위별로 보면 미혼여성은 주로 임시·일용직(60.8%)이 많았고, 비임금근로자 비중(0.6%)이 매우 낮았다. 기혼여성도 임시·일용직(54.9%)이 다수였지만 미혼여성에 비해 무급가족종사자(4.3%),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2.3%) 등 비임금근로자 비중이 높았다.

여성 단순노무직을 산업별로 보면 미혼여성은 주로 제조업(29.3%), 숙박·음식점업(22.9%) 비중이 높았다. 반면 기혼여성은 제조업(16.7%), 사업시설관리(14.5%),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4.5%), 숙박·음식점업(13.3%) 등 다수 업종에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은정 육아정책연구소 부연구위원은 경력 단절 여성의 경우 재취업 때보다 일자리 질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정규직이었던 여성도 단순노무직 등 불안정한 노동으로 가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말했다.

유시윤 기자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