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는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과 함께 전국 220여개 청소년상담복지센터를 통해 중독 위험군으로 확인된 청소년에 대해 보호자의 동의를 받아 상담·치료와 기숙형 치유특화프로그램 등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9일 밝혔다.
치료는 위험단계별로 위험사용자군은 청소년복지센터에서 직접 개인 상담을, 주의사용자군은 학교별로 찾아가는 집단 상담을 지원한다.
위험사용자군은 인터넷·스마트폰으로 일상생활에서 심각한 장애를 겪고 금단현상이 있어 전문기관의 도움이 필요한 수준, 주의사용자군은 인터넷·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점점 늘어나고 자기조절에 어려움이 있어 중독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경우다.
특히 위험사용자군 중 우울증,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등 ‘공존질환’을 보이는 청소년은 추가 검사를 통해 의료기관의 치료를 연계한다. 치료비는 최대 30만원(저소득층은 50만원)까지 지원된다.
청소년을 인터넷·스마트폰과 떨어뜨려 놓을 필요가 있다고 여겨지면 인터넷치유캠프, 가족치유캠프등 상담·치료와 대안 활동을 결합한 기숙형 치유특화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중·고등학생 대상 인터넷치유캠프는 연중 모두 17차례, 초등학생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가족치유캠프는 32차례 운영된다.
또 여가부는 저연령 중독 청소년을 치유하는 데는 부모의 역할이 중요한 만큼, 가정 내에서 자녀에게 올바른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을 지도할 수 있도록 부모 5천명을 대상으로 교육도 시행키로 했다.
학기 중 긴급하게 지원이 필요한 청소년에게는 전라북도 무주군에 있는 국립청소년인터넷드림마을에서 상시적인 통합 치유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숙형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에 대해서는 3∼6개월간 청소년 동반자나 멘토 등이 사후관리를해 치유 효과가 이어지도록 도울 예
정이다.
조진우 여가부 청소년정책관은 “부모가 자녀의 바른 스마트폰 사용 습관을 지도할 수 있도록 부모교육을 강화하고 가족치유캠프를 확대하는 등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정은 기자
[2016년 5월 25일 제76호 1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