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Date: 2024년 11월 26일

사회

“낙동강 녹조재앙” 정부와 부산시 적극 대책 촉구

4-1 먹는물 기자회견.jpg
 

이례적인 폭염 속에 녹조재앙의 위기를 맞은 낙동강 물문제에 대책을 호소하며 부산지역 시민들이 나섰다. 먹는물 부산시민네트워크 부산하천살리기시민운동본부 등 부산지역 시민단체(이하 부산 먹는물 대책위)는 14일 오전 10시 30분 부산시의회 2층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남조류 세포 수가 기준치를 넘어서는 등 낙동강의 녹조가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는데도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는 부산시 집행부와 정권에 현실적인 대안을 촉구하며 우선해결에 나설 것을 요청했다.


부산 먹는물 대책위는 “경남 창녕함안보는 지난 8월 6일 기준 남조류 세포수가 1ml당 715,993개, 지난 9일 517,616개가 관찰되었으며, 금강 백제보에서는 6일 남조류 세포가 398,820개가 관찰되는 등 9일 132,150개 관찰되어 4대강은 녹조라떼를 넘어 독조라떼를 형성하고 있다”며 “폭염보다 더한 먹는물 재앙이 연일 벌어지고 있는데도 정부와 부산시는 무대책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에 발빠르게 대처해줄 것을 촉구했다.


덧붙여 부산 먹는물 대책위는 “4대강보 조성이후 1천억 이상의 혈세로 녹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종 연구 실헌장치드론 폭기시설 등 수백여명의 박사들이매달렸지만 녹조는 더 심각해지고 있고, 수막재배 농민에 발목잡혀 부산경남 700만 시도민의 식수를 위한 보개방은 단 한치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어처구니없는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며 “수시 보 개방과같은 특단의 대책을 적극 강구해야한다”고 주문했다.


기자회견에 앞서 대책위는 부산대학교생명과학과 주기재 교수의 발제로 ‘부산은 언제까지 이런 원수를 정수해서 마셔야 하나“를 주제로 남조류 번성과 식수원에 대해 발표를 갖고 낙동강 물문제와 관련 시민활동을 해온 많은 시민단체 대표단들이 참석해 활발한 의견을 개진했다.


김상화 낙동강 공동체 대표, 최소남 먹는물 부산시민네트워크 대표, 주기재 부산하천살리기시민운동본부 공동대표, 부산환경운동연합, 박용수 낙동강오염방지협의회 회장, 이준경 한국강살리기네트워크정책위원장, 강미애 학장천살리기 주민모임 대표 등 부산여성단체협의회, 부산시구군여성단체협의회, 부산여성연대회의, 부산여성NGO연합회를 비롯 부산지역 여성시민사회단체 대표들도 동참, 향후 먹는물 문제에 여성들이 적극 나설 것을 결의하기도 했다.


이날 대책위는 또 현재 국회에 계류되어 있는 물이용 부담금 폐지와 관련, 낙동강 하류의 부산시민들은 가장 오염된 물을 정수해서 먹고 있는 상황인데도 물이용 부담금을 내야할 이유가 없다며 조속한 폐지와 정부차원의 안전한 물 공급대책이 강구돼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대책위는 이날 낙동강 녹조재앙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부산시장은 낙동강 보 개방 선언 ▲녹조와 먹는 물 해결할 때까지 시장실을 낙동강으로 옮길것 ▲안전한 수돗물 대안 마련 ▲낙동강수질개선 위한 시도지사 협의회와 낙동강민관협의회 구성 ▲녹조재앙 근본적으로 해결될 때까지 물이용 부담금 납부 중단▲취수원 다변화보다 낙동강 보 개방을 통한 본류 원수수질 개선정책 최우선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공급을 위한 ‘먹는 물 정책위원회’ 구성 등을 최우선 정책으로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책위는 관련 성명서와 요구사항을 담은 내용을 박태수 부산시 정무특보에게 전달하고 부산시장이 시책에 적극반영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부산맑은물범시민대책위는 최근 긴급회의를 열고 향후 운동방향을 논의하는 등 오는 28일 창원서 개최될 전국 5개 시도지사 토론회장을 방문, 낙동강 오염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한 기자회견과 시민 대 캠페인을 전개할 방침이다.


김유혜민 기자

 

[2018824일 제1034]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