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등 젊은 암 환자들이 치료 이후 가장 고민되는 문제로 ‘경력단절’을 꼽아 이들의 일자리 및 사회복귀를 위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유방암 경험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단체인 ‘젊유애’(젊은유방암애프터케어)와 부산시의회 행정문화위원회 제대욱 의원은 지난 4일 부산시의원회관 지하1층에서 ‘젊은 유방암 경험자를 위한 일자리 정책토론회’를 공동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젊은 유방암 경험자의 경력단절 사례를 공유하고 일자리 복귀 개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집중치료가 끝난 지 1년 이상 경과한 300여 명 젊은 유방암 환우 대상 설문과 분석 결과, 치료 이후 가장 고민되는 부분의 1위가 경력단절, 2위가 재발, 3위가 경제적 문제인 것으로 드러났다.
발제를 맡은 ‘젊유애’ 서지연 대표에 따르면 부산지역 20~30대 유방암 환자가 최근 5년(2015~2019) 1.54배 증가했다. 연도별로는 2015년 129명, 2018년 201명 등 연평균 150여 명의 젊은 유방암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연도별 인구 십만 명당 조발생율 2015년 28.2에서 2019년 47.3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서 대표는 “2017년 기준으로 유방암 5년 생존율은 92.7%에 이르고 있어 통원 및 강도 높은 6개월 이상의 치료 후에는 경력단절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서 30대 당사자는 “경력관리도 문제이지만 치료과정에서 육아를 병행하는 문제의 어려움이 있었다”면서, “퇴사 압박에 대한 우려로 젊은 유방암 환자들은 회사에 알리지 않고 치료받는 방법에 대해 고민을 한다”고 말했다.
20대 당사자 역시 “치료 후 회사의 복귀거부로 인해 현재 새로운 직장을 다니고 있지만, 암 경험을 밝히지 못해 정기검진 일정조차 맞추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부산시의회 복지안전위 박민성 의원은 병가 관련 제도사용의 안정적 지원제도 확보, 보호된 시장 확대의 필요성을 제기했으며, 부산시 나윤빈 청년정책과장은 민간 보험 가입율이 낮은 젊은암 경험자의 정책수요와 경험에 기반한 핀셋일자리 사업개발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생활균형재단 임희수 이사는 경력단절여성경제활동촉진법 지원대상에 혼인, 임신, 출산뿐만 아니라 질병으로 인한 본인 돌봄으로도 지원대상 확대 등 법률개정, 지자체 단위의 암 경험자등 환자들의 일·치료 양립을 지원하는 기관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부산경제진흥원 청년일자리팀 정덕원 팀장은 뉴노멀시대 확대되고 있는 원격근무를 기반으로 젊은 유방암 경험자의 일자리대책을 확충하는 것으로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 갈 것을 제안했다.
‘젊유애’ 서지연 대표는 “암 경험자들이 본인의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는 사회적 인식과 문화가 마련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제대욱 의원은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젊은 유방암 환자의 치료와 일 병행을 공론화하고 향후 현실적인 변화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함께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