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성평등지수가 전년 대비 0.5점 올라 100점 만점에 73.6점을 기록했다.
여성가족부는 2019년 기준 국가성평등지수와 지역성평등지수 측정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국가성평등지수는 73.6점, 지역성평등지수는 76.4점으로 매년 상승세다. 2018년에는 각각 73.1점, 75.7점을 기록했다.
여가부는 국가와 시도별 성평등 수준을 측정해 성평등 관점에서 정책 방향을 수립하기 위해 2010년부터 지수를 조사·발표하고 있다. 성평등지수는 성평등한 사회참여, 여성의 인권·복지, 성평등 의식·문화 등 3개 영역, 경제활동·복지·가족 등 8개 분야로 구성된다.
영역별 성평등 수준은 여성의 인권·복지 영역이 79.2점, 성평등 의식·문화가 74.5점 사회참여기 69.2점 순으로 높았다.
분야별로는 의사결정 분야 점수가 2018년 36.2점에서 38.1점으로 크게 올랐다. 정부 위원회 위촉직 위원과 4급 이상 공무원 비율이 늘어난 영향이다. 위촉직 위원 여성 비율은 41.9%에서 43.0%로 높아졌다.
안전 분야는 사회 전반에서 안전 의식 지표가 개선되면서 66.7점으로 전년 대비 1.8점 상승했고, 남성 육아휴직자가 증가하면서 가족 분야 점수도 61.2점에서 62.8점을 받았다. 남성 육아휴직자는 2018년 1만7662명에서 2019년 2만2297명으로 크게 늘었다.
지역 특성을 반영한 지역성평등지수는 광주, 대전, 부산, 제주 순으로 높았다. 하위 지역은 경남, 경북, 전남, 충남이다. 전년 대비 광주는 중하위에서 상위 지역으로 상승했고, 대구와 서울은 상위에서 중상위 지역으로 하락했다.
정영애 여성가족부 장관은 “여성 대표성 제고, 일·생활 균형 등의 정책을 적극 추진한 결과 성평등 수준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분야별 편차가 여전히 크다”며 “의사결정, 안전 등을 포함한 모든 분야의 성평등 수준을 한 단계 더 높일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정책들을 적극 추진하고 변화된 사회상을 반영하고 정책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국가성평등지수 개편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박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