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Date: 2025년 07월 04일

사회

중도 입국 다문화가정 청소년 정착위한 ‘희망 멘토링’ 결성

(사진=부산경찰청 제공) 부산경찰청은 14일, 외국에서 살다가 중도에 입국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한국사회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부산경찰청 외사자문협의회, 다문화 대안학교 3개학교(아시…

여성문화회관, 2022년 상반기 여성의식함양 특강 개최

부산시 여성문화회관은 오는 30일 오후 6시 30분 여성문화회관 3층 소극장에서 ‘2022년 상반기 여성의식함양 특강’을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특강은 사회적 거리두…

스토킹처벌법 시행에도 강력 스토킹 범죄 반복

(자료=경찰청 제공) 스토킹 피해로 경찰로부터 범죄피해자 안전조치를 받고 있던 경기도 안산의 40대 여성이 전 남자친구의 흉기에 찔려 숨지는 사건이 …

신발·의류·세탁 소비자 분쟁 잦아…‘취급 정보 숙지’ 필요

(사진=부산시 제공) 신발·의류·세탁 시 취급 정보 분실이나 표준약관 미숙지로 인한 소비자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부산시가 14…

경단여성 정책 패러다임…‘재취업 지원→경력단절 예방’으로

(자료=여성가족부 제공) 지난달 31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여성의 경제활동 촉진과 경력단절 예방법(이하 여성경제활동법)시행령’ 전부 개정안이 8일부터 시행됐다. …

부산시, 신혼부부 500세대에 주택융자·대출이자 지원

부산시가 대출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신혼부부 전세대출 최대 2억원 무이자 지원을 이어간다. 시는 신혼부부 500세대를 대상으로 ‘2022년 3분기 신혼부부 주택융자 및 대출이자…

직장 내 성희롱 피해자 10명 중 7명 “참고 넘어가”

(자료=여성가족부 제공) 지난 3년간 직장 내 성희롱 피해 경험 비율은 하락했지만 성희롱 피해 경험 10명 중 7명(66.7%)은 여전히 특별한 대처 없이 참고 넘어가는 것으로 드러났다. …

공공산후조리원 운영 주체, ‘모든 지자체’로 확대

그동안 시·군·구만 가능했던 공공산후조리원의 설치와 운영 주체에 특별시장, 광역시장, 도지사가 추가되는 등 공공산후조리원 설치·운영 주체가 확대된다. 또한, 유사 서비스 이용 시 이용료 감면 제외 규정도 삭제해 대상…

인구보건복지협회 부산 ‘다문화가족건강문화체험’개최

인구보건복지협회 부산지회는 지난달 31일, ‘다문화가족건강문화체험’ 프로그램을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이날 행사는 다문화 가족들에게 각종 문화체험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가족 간 소통과 공감의 시간을 갖도록…

위안부 피해자 대모 故김문숙회장 소장자료 체계적 정리 본격추진

지난해 타계한 고 김문숙 회장이 사재를 털어 설립한 민족과 여성역사관내 위안부 피해자들의 삶과 관부재팜 과정이 담긴 기록 등 1천여 점에 대한 역사기록물을 보존 후속조치를 위한 작업이 진행된다. 사단법인 한…

부산시 아동주거안전망 구축 위한 정책개발 나서

(사진=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아동주거안전망 구축을 위한 실태조사와 정책개발에 나섰다. 시는 이를 위한 첫걸음으로, 지난 26일 ‘부산시 아동주거빈곤가구 실태조사 및 정책개발 연구용역’착수보고회…

부산시대중교통시민기금, 취약계층 청소년에 교통카드 3천매 지원

부산시대중교통시민기금, 취약계층 청소년에 교통카드 3천매 지원 (사진=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재)부산시대중교통시민기금으로부터 관내 취약계층 청소년들을 돕기…

부산시·(재)한국의학연구소, 저소득 다문화가족 무료 건강검진 후원

부산시와 (재)한국의학연구소는 오는 6월부터 ‘2022년 저소득 다문화가족 종합건강검진 사업’을 실시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를 위해 저소득 다문화가족 무료 종합건강검진 후원 전달식을 지난 26일 부산시청에서 …

부산항만공사, 미혼모 등 소외계층 대상 항만물류 직업교육 운영

(사진=부산항만공사 제공) 부산항만공사(BPA)는 미혼모·미혼부, 복지시설 퇴소 청년 등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항만물류 일자리와 연계한 다양한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25일 밝혔다. 먼저,…

부산시, 시간제 보육서비스 이용대상 확대 운영

시간제보육은 부모의 외출, 단시간 근로 등으로 인해 일시적 보육이 필요한 경우에 시간 단위로 서비스를 이용하고, 이용한 시간만큼 보육료를 지불하는 맞춤형 보육서비스이다. 이용대상은 6~36개월 미만의 영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