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Date: 2025년 07월 04일

사회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서비스에 부산시민 83% 만족

(사진=부산시 제공) 부산시의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서비스에 부산시민 83%가 만족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부산시가 지난해 12월 실시한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서비스 시민 만족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초보 아빠를 위한 육아가이드’ 개정판 배포

(사진=보건복지부 제공) 보건복지부는 아이의 연령에 따라 아빠가 알아야 할 육아 정보를 담은 ‘초보 아빠를 위한 육아가이드’ 개정판을 9일 배포한다고 밝혔다. 2014년 초판 발간된 이번 육아 가이드는…

마을돌봄시설 운영시간 1시간 연장해 20시까지

올해부터 지역아동센터 등 마을돌봄시설의 돌봄 시간이 20시까지로 연장된다. 보건복지부는 돌봄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지자체 내 마을돌봄시설의 학기 중 운영 시간을 기존 19시에서 20시로 연장한다고 9일 밝혔다…

부산시민 88.1% “학교 아침 체육활동 필요”

(자료=부산시 교육청 제공) 부산시민의 88.1%가 ‘학교 아침 체육활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교육청은 지난해 12월에 실시한 부산 교육정책 정기 여론조사에서 ‘학교 아침…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 중위소득 60% 이하로 확대

올해 한부모가족 양육비 지원대상이 확대된다. 지원절차도 간소화되며, 청소년 한부모는 검정고시 지원을 받기 위해 학원에 자신이 한부모임을 알리지 않아도 된다. 여성가족부는 최근 ‘제1차 한부모가족 정책 기본…

동래구, 주민 스스로 결정하는 ‘우리동네 복지촌(村)’사업 추진

(사진=동래구청 제공) 부산 동래구(구청장 장준용)가 주민투표를 통해 마을 복지사업 선정하는 2023년‘우리동네 복지촌(村) 사업’을 추진한다. ‘우리동네…

부산시 신혼부부 전세대출 최대 2억 원, 2% 대출이자 지원

부산시가 지난해 성황리에 마감한 ‘신혼부부 주택융자 및 대출이자 지원사업’을 2023년에도 사업을 지속해 나간다. 시는 신혼부부의 주거비 부담 완…

부산지역 어린이집 운영난 1순위는 ‘원아 모집’

부산지역 어린이집 운영의 어려움 1순위는 저출산으로 줄어든 ‘원아 모집’이며, 가장 필요한 보육 서비스는 ‘시간 연장 보육’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사회적 인식 향상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복지 …

부산시민 절반 이상이 운동 실천, 의료서비스 만족도 높아

(사진=부산시 제공) 부산시민 절반 이상이 운동 실천하고 있고 부산시의 의료서비스 만족도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삶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점인 것으로 조사 됐다. 부산시가 시민의…

‘부산시, 구·군 육아종합지원센터 기능 및 역할 재정립 포럼’ 성료

부산광역시육아종합지원센터(센터장 김정신)는 지난 21일 부산광역시 주최, 부산광역시육아종합지원센터 주관으로 ‘부산시, 구·군 육아종합지원센터 기능 및 역할 재정립 포럼’을 성료했다고 29일 밝혔다. 부…

부산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시의회와 인구정책 강화추진

(사진=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29일 오전 시청 7층 국제의전실에서 인구구조 변화 대응 강화를 위해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이하 ‘위원회’), 시의회와 업무협약식을 개최했다. …

‘스토킹피해자보호법’ 국회 본회의 통과

앞으로는 스토킹 ‘범죄’가 아닌 ‘행위’만으로 피해자 보호조치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여성가족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스토킹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안’(스토킹 방지법)이 28일 국회 본회의를 통…

모임넷 “유산유도제 도입하고 건강보험 적용 확대하라”

모두의안전한임신중지권리보장을위한네트워크가 28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유산유도제 도입과 건강보험 적용 확대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낙태죄 헌법불…

부산형 대통합 통학환경 안전망 구축 업무협약 체결

(사진=부산시 제공) 부산의 등하굣길 안전망 구축을 위해 부산시, 부산시 교육청, 부산시 경찰청, 녹색어머니연합회가 맞손을 잡았다. 부산시는 19일 오전 8시 …

적극적인 정보공개로 시민참여권 보장 필요

“민관학 협치 젠더거버넌스가 필요하다”, “성별영향평가 이행점검을 할 수 없는 ‘정보부존재’ 사례가 다수를 차지해, 적극적인 정보공개로 시민의 알 권리와 참여권이 보장돼야 한다” 성평등위아가 14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