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Date: 2025년 02월 06일

사회

부산시, 2030년까지 60세 이상 고용률 45%까지 높인다

20241024_104159.png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2030년까지 60세 이상 고용률을 45%까지 높이는 등 지역 맞춤형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생태계를 구축한다.

부산시는 23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박형준 시장 주재로 제46차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열고, 부산시일자리위원회 위원, 시의원, 전문가, 기업 대표 등과 함께 부산형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활성화 대책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시는 참가자들의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해 3대 전략 16개 사업으로 구성된 부산형 시니어 일자리 활성화 대책을 마련하고 본격 추진하기 했다.

부산형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생태계 구축 민간기업 장노년(시니어) 고용 활성화 사회적 가치 제고 공공일자리 창출을 전략으로 세워 추진한다.

2030년까지 시 60세 이상 고용률을 45퍼센트(%)까지 제고하고 일자리 창출 인원을 13만 명 이상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예산도 올해 2800억 원에서 내년에는 3160억 원으로 늘리고 2030년에는 5천억 원 수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전국 최초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통합지원시스템인 부산 시니어 일자리 플랫폼을 내년 1월부터 본격 가동한다. 이를 통해 시, ·, 중앙부처, 유관기관 등 부산지역 시니어 고용 지원기관들의 모든 일자리 정보를 한눈에 접하고, 일자리사업 신청을 일괄로 할 수 있다.

부산형 사회가치경영(ESG) 연계 시니어 일자리를 대폭 확대해 탄소중립 실현과 함께하는 친환경 일자리를 늘려나간다. 장노년(시니어)의 경력과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는 민간 일자리 창출을 더욱 촉진시키고 대학과 협업해 맞춤형 직업교육 및 논스톱 취업을 연계한다.

장노년(시니어) 근로자 채용 시 기업에 인건비, 운영비 등의 혜택(인센티브)을 제공하고 생활권 중심 일자리를 창출하며, 장노년층 취업 알선 기능도 내실화한다. 장노년(시니어) 근로자에 대한 기업의 부정적 인식을 개선해 채용 확대를 이끌고, 장노년 구직자의 구직 기술 향상과 일자리 적응을 지원한다.

20241024_104124.png

(부산시 제공)

장노년(시니어) 공공일자리를 늘려 장노년 근로를 촉진하고 복지 향상을 지원하며 특히, 사회적 가치가 높은 일자리를 확대해 나간다. ‘늘봄 장애아동 매니저 사업을 크게 확대한다. 경험 많은 장노년(시니어)들이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등에서 특수교육 대상 아동의 돌봄과 학습, 안전을 지원하는 이 사업은 올해 부산에서 시범사업으로 추진됐으며 시는 교육청 등과 협업을 통해 내년에 지원대상 학교를 늘리고 일자리도 165명에서 1천명으로 대폭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사회공헌과 활동과 연계한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사업도 계속해서 추진한다. 은퇴자들의 경력을 활용한 생애재설계, 상담, 아동 학습지원 등을 수행하는 신중년 사회적 일자리사업과 평생교육, 건강생활, 문화예술 등을 지원하는 신중년 사회공헌활동사업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박형준 시장은 장노년의 축적된 경험과 지식은 사회의 소중한 자산으로 지역 성장의 새로운 원동력이 될 수 있다라며, “장노년(시니어) 일자리 활성화 정책을 통해 우리 부산의 장노년층이 부산 발전의 새로운 견인차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박정은 기자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