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Date: 2024년 11월 25일

사회

폭언·욕설에 여성폭력 상담사 4명 중 3명 “번아웃”

 입소자가 나가겠다, 경찰에 신고하겠다, 자해하겠다등 협박적인 언어를 사용하고 아이씨 지가 뭔데 이래라 저래라 하냐, x, 미친x’등 욕설을 많이 들어요

피해자 법률 지원 동행중에 가해자로부터 니가 뭔데 여기왔냐, 저리 가 있어라등 언어적 위협과 고성을 경험해요

가해자로부터 내담자를 보호해야 하는 의무를 지고 있으나 어떠한 돌발상황을 예측할 수 없는 것에서 오는 불안감이 늘 있어요. 이러한 불안감이 소진의 원인이 됩니다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 4명 중 3명은 직무에서 오는 만성 스트레스 반응인 소진’(번아웃)을 경험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북여성정책개발원이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의 의뢰를 받아 최근 내놓은 ‘2022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 소진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74.4%(692)가 지난 1년간 소진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소진은 감정적이고, 대인관계 요구가 높은 직무에 장기간 종사할 때 나타나는 정서적·행동적 스트레스 반응으로 정신적 에너지가 고갈된 상태, 개인의 신체, 정서, 사회, 영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인 결과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720일부터 831일까지 전국 가정폭력상담소와 해바라기센터, 여성긴급전화 1366센터 등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 672곳 종사자 9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34)을 통해 이뤄졌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성매매 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에서 지난 1년간 소진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8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근무경력 ‘3년 이상~5년 미만’(84.9%), 중간관리자(85.6%)에서 지난 1년간 소진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보고서는 이들의 소진이 열악한 업무 환경과 피해자 지원 과정에서 직·간접적 폭력에 노출되는 데 따른 대리 외상과 관련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기관 종사자의 소진 예방 및 회복을 위해 종사자 소진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구축, 인력 보강, 급여체계 개선 등의 종사자 처우 향상,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을 위한 종사자 역할에 관한 사회적 인식개선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박정은 기자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