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 범죄와의 전쟁 선포' 1개월... 어떻게 달라졌나
여중생 살인사건 이후... 부산 성폭력없는 안전도시 만든다
사상 여중생 성폭행 살인유기 사건발생 2개월여. 성폭력 범죄와의 전쟁 선포 1개월. 그동안 우리사회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성폭력 범죄에 대한 사회적 심각성에 대한 인식과 아동․여성 및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법적 보호강화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 보다 높아지면서 성폭력 완전 제로화운동이 적극 추진되고 있다.
부산시, 부산시의회, 교육청, 소방서 및 여성단체를 비롯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조체계가 요구되면서 지난 3월 18일 부산지방경찰청(치안감 이강덕)은 '성폭력 범죄와의 전쟁'을 대대적으로 선포했다. 14세미만 아동 청소년 실종율 높아 지난 3월 선포이후 경찰집계 아동 및 여성실종사건은 386건. 이중 아동 115건, 여성 이 171건이 발생 , 전월 220명 대비75.5%(166명)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두껑보고도 놀란다' 는 말이 있듯, 지난 사건이후 경찰의 신경도 곤두서있다. 아동 청소년 대부분 단순가출이 높아 위급대처하지 않았던 이전과 달리 만약에 대비, 단 한 건의 실종신고에도 대거 출동하는 사태가 빚어지기도 했다. 어쨌든 성폭범죄와 전쟁 선포이후 시스템 전격가동으로 전체 386명 중 294명(76.2%)는 경찰의 추적수사와 수색으로 조기 소재발견 귀가조치 됐고, 11.7%(45명)가 자진귀가 했다. 이중 14세미만 아동 및 청소년이 전체 59.1%를 차지, 여전히 성인보다 아동 청소년 실종률이 높은 편이었고, 대부분이 단순가출로 나타났다.
또 신고접수에서 발견까지 소요시간은 1일 이내가 72.8%로 분석돼 실종자 조기발견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주고 있다. 이 기간 성폭력범 등 각종 범죄자 검거율도 증가했다. 1개월간 성폭력범 96명(전월 대비11.6%증가), 성범죄 수배자도 20명을 검거하는 등 여타 수배자도 721건을 검거하는
일석이조의 성과를 보였다.
성폭력 전과자 중 재범위험의 우려가 높은 1천594명의 대상자를 우범자 분류에 확대 편입, A~D등급으로 4등급 분류해 집중관리에 들어간 것도 큰 변화. 경찰은 성폭력 범죄와의 전쟁 선포이후 성공적 업무 수행을 위해 실무추진단과 상황반을 편성 운영에 들어가는 적극적 조치도 시행했다. 실종사건 수사팀도 기존 57명에서 227명으로 대폭 보강, 실종자 발생시실종팀 강력팀 여청계 등 동시에 출동케하여 조기발견을 위한 총력대응시스템을 구축하기도 했다.
민간 및 경찰이 협력 성폭력 범죄예방 방범활동을 통해 미귀가자 112신고도 35%증가하는 등 특히 14세미만 실종아동 신고접수가 기존 29건에서 92건으로 217% 증가했으며, 원스톱센터 방문자도 3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문제가 된 재개발지역 등 범죄취약지역 334개 소 범죄환경 분석 및 현장확인을 통해 38개소 대상 서민보호 치안강화구역으로 설정하고 성폭력범죄 특별관리구역도 동시 운영에 들어갔다. 실제 이같은 종합 치안활동결과 성폭범죄와의 전쟁선포전후 1개월을 비교해볼 때 5대 범죄발생이 46%나 감소했고 검거율도 30.1%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절도발생건수도 41.3%감소했으며, 폭력발생도 72.5%가 감소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는게 경찰측의 설명이다.
방범진단 및 경유순찰횟수도 일일평균 188%~99%증가했고 취약장소 거점배치 일일평균 인원도 246%증가하는 등 방범조치도 한층 강화됐다. 부산지방경찰청 관계자는 "재개발지역등 공·폐가밀집지역 순찰과 수색활동을 강화조치하고 성폭력 예방을 위한 등하굣길 통학로 안전확보를 위해 초중학교 428 개교에 대해 1일평균 734명의 경찰관을 거점 배치하는 등 136개소에 CCTV를 설치, 방범
진단과 캠페인을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전 경찰력을 동원, 강력한 단속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 성폭력범을 완전척결하고 부산을 성폭력 제로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한편 부산성폭력상담소 등은 "경찰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노력하는 모습은 고무적이나 기존 여청계에서 머물게 아니라 아동 청소년 및 여성전담과로 승격, 전담과의 권한을 강화하고, 관련사건 발생시 신속 대응 할 수 있는 보다 근본적인 구조 개편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유순희 기자
[2010년 4월 30일 7호 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