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 공공기관 관리직 등에 ‘유리천장’이 여전히 단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겉으로는 여성의 지위가 크게 향상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부산의 행정·공공기관과 학교 등에서 일하는 여성들 가운데 간부와 고위직 비율은 낮았다.
부산여성가족개발원이 최근 발간한 ‘부산지역 여성관리직 실태와 확대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부산지역 여성관리직 진출은 초등학교 교장을 제외하고 전 분야에서 30%를 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고등학교 교장·교감, 대학의 총학장, 500인 이상 기업 관리직의 여성비율은 전국 평균 보다 낮았다.
5급이상의 공무원 가운데 여성은 15%에 그쳤다. 이어 공공기관 상임임원 6.7%(전국5.8%), 공공기관 비상임 임원 10.2%(전국11.4%), 관리직 4.8%(전국 9.7%), 국회의원0.0%(전국 17.0%)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10년 전에 비해서 여성관리직의 비율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5급 이상 공무원 7.5%에서 15.0%로 10년 동안 2배 증가 했고, 초등학교 교장과 중학교 교장 중 여성 비율이 40%에 육박할 정도로 증가했다. 고등학교 교장은 여성비율이 2007년 9.2%에서 2016년 8.9%로 낮은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국회의원 배출 실적은 후퇴했지만, 기초자치단체 단체장과 의회의원 배출 실적은 우수했다. 연구보고서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관리직 진출이 어려운 이유로 △육아·가사로인한 전천후 업무수행의 한계와 경력단절, 피부양자 인식으로 승진 동기가 약한 것 △여성근로자의 중간 퇴사로 인재가 부족하며, 조직문화가 남성중심적이고 성 차별적이어서 여성인재 등용을 꺼린다는 점 △사회 전반적으로 성역할을 구분하는 문화가 상존하는 등 개인요인과 조직요인이 결합돼 여성관리직 진출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지방정부가 자체적으로 추진하는 여성대표성 정책을 강화하고 공공기관의 여성관리자 현황관리 시스템구축과 여성관리직 및 여성임원 목표제 도입 및 경영평가에 반영 등이필요하고,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대상 민간기업 범위를 확대(현재 500인 이상)하며, 일·가정양립 등 남녀평등 고용지원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유혜민 기자
[2017년 10월 27일 제93호 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