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Date: 2024년 04월 26일

데스크 칼럼

데스크단상>국민행복시대를 열어가려면

 
4.jpg

지난 대선 줄곧 세간을 뒤흔들었던 화두가 '준비된 여성대통령'이었다. 많은 여성들이 술렁거렸고 적잖은 기대감으로 끓어올랐다. 그리고 우리는 여타 선진국보다 앞서 여성대통령을 탄생시켰다. 수 년 전부터 솔솔 새어 나오던 여성대통령론이 현실화 된 것이다.
 
박당선인은 '준비된' 지도자, 그리고 성의 구분에서 있어서 '여성'임에는 누가 뭐래도 분명하다. 한 국가를 이끌어갈 지도자의 역할을 누구보다 가까이에서 체험하며 리더십을 키웠고, 박당선인만의 독특한 리더십이 역대 지도자들과 달리 어떻게 국정을 운영해나갈지 기대감을 갖게도 한다.
 
그러나 많은 국민들의 기대감속에 탄생한 여성대통령은 해야할 일이 너무 많다. 세계적인 경제불황속 눈덩이처럼 쌓여가는 국가·가계부채, 저출산 고령화, 청년실업, 사회양극화등으로 성장동력을 잃어가고 있는 가운데 복지국가, 경제민주화, 일자리창출과 같은 시대적 요구를 지혜롭게 해결해야할 난제를 맞닥뜨리고 있기 때문이다.
 
총선과 대선을 거치면서 쏟아져 나온 복지 포퓰리즘으로 국민기대치도 한껏 높아졌으니 당장 박당선인이 약속한 135조 규모의 복지공약 재원은 어떻게 마련할 지 걱정이 되기도 한다. 일각에서는 국민과의 약속을 번복하는 일일지라도 비현실적인 공약을 과감히 수정해야한다고 우려하기도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한 국가 지도자로서 성공하기위해서는 이번 대선의 화두였던 국민대통합과 정치쇄신을 이루는 길일테다. 여성 특유의 평화적 감성과 포용적 에너지로 화합을 도모하고 깨끗한 정치 환경을 만들어 가야한다.

이와 함께 현재 세계 경제정책의 기준이 되고 있고 있을 만큼 중요한 화두가 되고있는 '고용'과 '분배'문제를 잘 해결해 국민 불신을 해소하고 국민행복 체감지수를 높여야 할 것이다. 성공한 여성대통령들은 국민과 끊임없이 소통하면서 따뜻한 리더십을 국정운영에 발휘했고, 권위주의를 타파하고 민주적 리더십으로 통합의정책을 추구했으며, 경제안정화를 단행했다.
 
기준이 되고 있고 있을 만큼 중요한 화두가 되고있는 '고용'과 '분배'문제를 잘 해결해 국민 불신을 해소하고 국민행복 체감지수를 높여야 할 것이다. 성공한 여성대통령들은 국민과 끊임없이 소통하면서 따뜻한 리더십을 국정운영에 발휘했고, 권위주의를 타파하고 민주적 리더십으로 통합의정책을 추구했으며, 경제안정화를 단행했다.
 
그런 면에서 박당선인 특유의 지나친 과묵과 절제가 자칫 불통의 이미지로 굳혀지지 않도록 적절히 조절할필요가 있다. 인수과정에서 보여주고 있는 철통보안과 밀실 논란은 출발전부터 답답함을 안겨주고 있지않은가. 보안과 국민의 알 권리의 간극을 줄여 적정한 때 논란의 고리를 끊어
줘야 신뢰를 쌓아가며 순조롭게 출발할 수 있음도 상기해야 한다.
 
선거기간 많은 여성들이 여성대통령이 되면 여성을 대변하면서 여성문제를 해결해 주리라는 단순명료한 논리로 진보담론의 내적 모순을 정리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지만, 이제 여성계도 더 이상 국가를 수반하는 최고지도자를 성 이데올로기에 가두어두지 말아야 한다.
 
여성대통령이기에 여성을 위해, 여성으로서 무엇을 해줄지 또는 어떤 일을 해야할지 지나친 기대감도 내려놓아야 한다. 물론 그렇다고 여성정책을 후퇴시키거나 외면하는 것을 관망하자는 얘기는 아니다. 이미 쏟아놓은 여성정책만으로도 충분히 지켜보며 제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얘기다.
 
대통령 당선자도 국정운영의 최고가치를 어디에 두건 간에 일각에서 우려하는 젠더마인드 평가에 형편없는 점수를 받지 않으면 소관부처를 잘 견인하며 정책이 제대로 반영되도록 관심의 끈을 놓지 않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그동안 누누이 제기돼왔던 여성주의적 시각부재에 대한 인식을 상쇄할 수 있으리라 본다.
 
지난 정권동안 이루어놓은 국가브랜드 이미지를 발판으로 세계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글로벌 입지를 더욱 강화해나가는 동시에 이제는 내부 문제해결에 더 치중해야할 때다.
 
부디 박당선인은 지나친 건설주의적 국정운영에서 탈피, 대다수 보통의 국민들과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책에 우선 가치기준을 두며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사회양극화해결에 집중했으면 한다.
 
막대한 예산을 저소득층에 남발하는 것만이 복지국가실현이 아닐 테다. 진정한 국민행복시대는 사회적약자와 국민들의 마음을 읽고 소통하는 지도자의 따뜻한 리더십이다. 그리고 그것이 정책에 반영되고 이것이 실현됨으로써 온 국민들이 가슴으로 느끼도록 하는 일이 아닐지.
 
 
[2013년 1월 25일 제38호 19면]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